본문 바로가기
국방과학

비궁 제원 및 성능(장단점)

by №℡ 2024. 3. 17.

미사일

비궁 성능과 제원

비궁(匕弓)은 한국과 미국이 공동 개발한 70mm 유도 로켓으로, 주로 북한의 공기부양정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비궁은 적외선 유도 시스템을 사용하여 목표를 추적하며, 다음과 같은 주요 제원을 가지고 있습니다.

  • 크기: 직경 70mm, 길이 1.9m
  • 무게: 약 14kg~15kg
  • 탄두 무게: 4kg 이상
  • 비행 성능: 사거리 8km
  • 교전 성능:
    • 최대 동시 교전 목표: 5개
    • 최소 교전 거리: 1.5km 미만
  • 최종 양산가: 발당 약 4000만원
  • TADS(Thermal Acquisition and Designation System):
    • 최대 탐지 거리: 12km
    • 최대 추적 거리: 8km

비궁 유도 로켓은 해병대와 공군에서 주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발사차량에는 로켓이 36발 탑재됩니다. 또한, KA-1 경공격기나 공격 헬리콥터에 탑재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비궁 장단점

비궁 유도 무기는 다른 유도 무기들과 비교했을 때 몇 가지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장점으로는

  • 저비용: 비궁은 기존 유도무기 대비 1/3 수준의 저비용으로 개발되었습니다.
  • 소형화: 유도로켓 핵심 구성품인 탐색기 및 유도조종장치를 소형화하여 휴대성과 기동성이 뛰어납니다.
  • Fire-and-forget 방식: 발사 후 망각 방식으로 다수 표적에 동시 대응할 수 있으며, 중간에 계속 유도하지 않아도 알아서 표적을 추적해 비행하는 고급 기술을 사용합니다.
  • 높은 명중률: FCT (해외비교시험)에서 명중률 100%를 달성하여 신뢰성이 입증되었습니다.

단점으로는

  • 비교적 짧은 사거리: 비궁은 사거리가 8km로, 장거리 목표물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한정된 플랫폼: 비궁은 특정 플랫폼에만 탑재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일부 계획된 플랫폼에는 아직 통합되지 않았습니다.

비궁은 주로 해병대와 공군에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북한의 고속공기부양정과 같은 해상 기습 침투세력에 대응하기 위한 무기로 개발되었습니다. 이러한 특성은 비궁을 해상 작전에 매우 적합한 무기로 만들어줍니다. 다만, 다른 유도 무기들과의 비교에서 사거리나 플랫폼의 다양성 측면에서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