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과학

3차원 D램 이란? 장단점 과 구현 기술

by №℡ 2024. 6. 25.

3차원 D램이 무엇인지 한번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구조

3차원 D램

3차원 D램은 전혀 새로운 기술이 아니라, 기존의 2차원 D램을 수직으로 쌓아 나누어 만든 것입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셀을 배치할 수 있어 면적당 용량을 세 배 늘리고 데이터 저장 공간을 더 많이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는 2025년에 '꿈의 메모리'로 불리는 3차원 D램을 공개하고 있으며, 이는 데이터 처리용량을 세 배로 스마트폰과 차량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3차원 D램은 특히 인공지능 (AI) 시대의 게임체인저로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3차원 D램 구현 기술

3차원 D램을 구현하는 기술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평면에서의 셀 배치 방식과 달라는 차세대 기술
    3차원 D램은 평면에서 셀을 만드는 기존 방식과 달라고, 셀을 눕혀서 층을 쌓는 방식으로 구성됩니다.
  2. 회로 선폭 줄여 집적도 늘리기
    현존 방식의 기술 한계가 점차 부각되면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3차원 D램은 회로 선폭을 줄여 집적도를 늘리는 것으로, 더 많은 기억소자를 같은 공간에 배치할 수 있게 합니다.
  3.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기술 개발
    3D D램의 가능성은 봤지만 상용화까지는 많은 개발 과정이 필요하다고 시사했습니다. 예를 들어, SK하이닉스는 3D D램의 제조 수율이 56.1%를 기록했으며, 이는 현재 범용으로 쓰이고 있는 2D D램과 유사한 특성을 보였다고 설명했습니다.
  4.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특정 기술들
    각각의 회사들이 다른 방법으로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는 세계 최초로 3차원 'TSV (Through Silicon Via)' 적층 기술을 적용한 차세대 제품을 양산하고 있으며, 이는 칩 상하단을 전극으로 연결하는 기술입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3차원 D램의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각 회사의 개발 방향과 혁신적인 기술 개발에 대한 정보는 과거의 발표와 연구 결과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3차원 D램 장단점

3차원 D램과 2차원 D램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3차원 D램

  • 더 많은 데이터 저장 가능성: 층을 쌓아서 더 많은 기억소자를 같은 공간에 배치할 수 있어 면적당 용량을 세 배 늘리고 데이터 저장 공간을 더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 층을 쌓는 것으로 인해 더 많은 전선을 사용할 수 있어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빨라집니다.
  • 효율적인 사용: 더 작은 공간에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2D D램보다 더 효율적입니다.

2차원 D램

  • 평면적인 구조: 기억소자를 평면에 배치시키는데 간결한 구조로, 설치와 관리가 쉽습니다.
  • 불안정한 동작 특성: 3차원 D램과 비교하여 불안정한 동작 특성이 있으며, 범용으로 사용하려면 32~192단까지 기억소자를 쌓아야 한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 현대적인 기술: 현대 시대의 기술으로서도 유사한 특성을 보였으며, 기존의 2D D램과 유사한 특성을 보였다는 것이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장단점들은 각각의 D램 형식이 어떤 사용에 가장 적합할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3차원 D램은 더 큰 데이터 처리와 저장 요구를 가진 분야에서 큰 장점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설치와 관리가 어려울 수도 있으며, 현대 시대의 기술으로서도 불안정한 동작 특성이 있습니다.

 

반면, 2차원 D램은 간결하고 현대적인 기술으로서도 유사한 특성을 보였으며, 설치와 관리가 쉽습니다 하지만 데이터 저장 가능성이 제한된다는 점이 있습니다. 각각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최적의 선택을 내릴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