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화재에 대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기차 전용 소화기
전기차는 환경 친화적이고 연료비 절감 등의 장점이 있지만, 리튬 이온 배터리의 화학 반응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기차 화재는 일반 차량보다 더 빠르고 강하게 타고, 물이나 거품으로는 쉽게 꺼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전기차 화재를 진압하려면 전기차 전용 소화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전기차 전용 소화기에는 D급 소화기와 질식소화포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D급 소화기는 금속 화재에 효과적인 메토버라는 화학 분말을 사용하는 소화기로, 메토버는 리튬 이온 배터리의 표면에 코팅되어 열을 차단하고 화재를 진압합니다. 질식소화포는 불타는 전기차 배터리팩에 물을 직접 분사할 수 있는 고압 노즐이 달린 소화포로, 물은 배터리팩의 온도를 낮추고, 산소를 차단하여 화재를 진압합니다.
완전한 진압은 불가
전기차 전용 소화기는 전기차 충전소나 주차장 등에 설치되어 있으며, 개인이 구매하여 차량에 비치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전기차 전용 소화기로도 전기차 화재를 완전히 끌 수 없습니다. 전기차 화재는 리튬 이온 배터리의 열 폭주 현상으로 인해 재발화의 위험이 있으며,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전용 호스로 차량 하부에 물을 지속적으로 뿌리거나, 차량을 저수조에 담가두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러한 작업은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고, 화재가 발생한 장소나 상황에 따라서는 실행하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전기차 화재가 발생할 경우, 자체 진화를 시도하지 말고 빠르게 대피하고 119에 신고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전기차 화재는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충전시간을 줄이거나 과충전을 하지 않으며, 배터리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고온이나 습도가 높은 곳에서 주차하지 않는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전기차 화재에 대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전기차를 안전하게 운전하시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