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주과학

무인탐사선 모음(1950~1990년대)

by №℡ 2020. 7. 28.

인류 과학의 정수는 우주탐험이다.
1950년대부터 인류는 최초로 우주로 탐사선을 쏘아 나갔다.

이번편에는 역대 무인탐사선의 종류를 발사 연대별로 모아보았다.

1950년대

루나 1호 (Мечта 메치타) - 최초로 지구 중력장을 벗어난 탐사선. (1959년)

루나 2호 - 최초로 달 표면에 도달한[1] 탐사선. (1959년) 착륙이라곤 안했다

루나 3호 - 최초로 달 뒷면을 촬영한 탐사선. (1959년)

1960년대

매리너 2호 - 최초로 금성에 접근비행하여 탐사하는데 성공했다. (1962년)

매리너 4호 - 최초로 화성에 접근비행하여 처음으로 화성표면을 촬영했다. (1965년)

루나 9호 - 최초로 다른 천체인 달에 정상적으로 착륙한 탐사선이다. (1966년)

베네라 3호 - 최초로 금성 표면에 도달한 탐사선. 그러나 금성에 접근하던 중 통신이 두절되어 정보를 얻는 데에는 실패하였다. (1966년)

서베이어 3호 - 지구가 아닌 천체 상에서 인류와 다시 만난 최초이자 유일한 탐사선이다. 아폴로 12호 참고. (1967년)

매리너 5호 - 금성에 접근비행하여 탐사선이 금성 뒤로 지나갈 때의 수신 전파의 강도 변화 측정으로 금성대기압을 계산해냈다. (1967년)

존드 5호 - 최초로 생물을 태우고 달 주위를 비행한 탐사선. 승무원은 거북이 두 마리. (1968년)

매리너 6호, 매리너 7호 - 매리너 4호보다 더 가까이 화성에 접근비행하여 더 많은 양의 표면촬영사진을 보내왔다. (1969년)

1970년대

베네라 7호 - 최초로 금성에 연착륙한 탐사선. (1970년)

루나 16호 - 월석을 가지고 돌아온 최초의 무인 탐사선.[2] (1970년)

매리너 9호 - 화성에 가까이 접근비행만 한-즉 가까이 지나쳐간-전 탐사선들과는 달리 최초로 화성궤도를 돌면서 수천장이 넘는 표면사진을 보내왔다. 이로써 화성표면지도가 만들어졌다. (1971년)

마스 2호 - 화성에 최초로 착륙하려다 추락해 들이받은 탐사선. 결국 착륙한 지 몇 초 뒤 연락이 두절되어서 결국 임무 실패. (1971년)

마스 3호 - 화성에 최초로 착륙한 탐사선. 그러나 착륙후 수초 후 통신 두절. (1971년)

파이오니어 10호 - 최초로 목성 탐사 성공. (1973년)

파이오니어 11호 - 최초로 토성 궤도에 진입했으며 두번째로 목성을 탐사한 탐사선. (1974년)

매리너 10호 - 최초로 수성 탐사에 성공한 탐사선. (1973년)

바이킹 1, 2호 - 화성에 착륙하여 최초의 화성 표면 영상을 촬영했으며, 몇년 동안 화성 표면에 머물면서 화성에 미생물이 있는지 알아내기 위해 실험을 하고 화성 표면에 관련된 탐사 자료들을 보냈다. (1976년)

보이저 1, 2호 - 외행성들인 천왕성과 해왕성 탐사의 레전드. 교과서에 있는 외행성 사진들은 거의 이 탐사선의 작품이다. 현재 인류가 날린 탐사선 중 가장 멀리까지 갔으며 원자력 전지의 미미한 전력으로 아직도 관측자료를 보내고 있다. 그리고 그게 또 과학적으로 새로운 발견을 해내고 있다.

1980년대

지오토 - 역시 ESA에 의해 발사된 혜성탐사선. 1986년 핼리 혜성의 지구 접근에 맞추어 발사되어 프로브가 핼리 혜성의 조성에 대한 정보를 보내왔다. 후에 그릭-쉐렐러프 혜성에 접근하고 13일 뒤인 1992년 7월 23일 송신이 끊어졌다.

갈릴레오(탐사선) - 목성에 대기 관측용 프로브를 투하했는데, 프로브는 두 시간 만에 엄청난 대기압으로 인해 파괴됨. 갈릴레오 호 본체는 4년 정도 목성계 탐사를 수행한 후, 목성 대기권에 돌입하여 산화되었다.

1990년대

마젤란 - 금성 탐사선(1990년)

마스 패스파인더 - 이동식 탐사선 소저너를 탑재. 미션의 대성공으로 체급을 한참 높여서 두 대 더 보냈다.

카시니-하위헌스 - 둘 다 토성에 가서 하위헌스는 타이탄에 착륙했고, 카시니는 2017년 9월 15일 마지막 임무인 그랜드 피날레로 토성의 대기권에 돌입해서 파괴되었다. 심심하면 뭐 발견했다고 나오는 효율 좋은 탐사선.

화성 기후 궤도선 - 단위 체계의 계산 착오 때문에 착륙 도중 폭발로 임무 실패. 탐사선을 제작한 록히드 마틴에서 야드파운드법으로 표기한 탐사선의 추진력을, NASA의 기술자들이 SI 단위로 착각하여 벌어진 어처구니 없는 실수였다. 이 때문에 미국도 미터법의 도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봉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