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주과학

한국형 발사체 개발 아쉽지만 이렇게 되었다.

by №℡ 2020. 12. 29.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 중인 ‘한국형 발사체’의 첫 발사 시기가 애초 예정보다 8개월 지연된 내년 10월로 미뤄졌다.

산·학·연 전문가 15인으로 구성된 전담평가단의 권고에 따른 것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9일 제18회 국가우주위원회를 서면으로 개최하고 ‘한국형발사체개발 추진현황 및 향후계획(안)’과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 개발사업 계획(안)’ 2개 안건을 확정했다며 이같이 전했다.

국가우주위원회는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전담평가단의 의견을 수용, 한국형발사체 개발의 충분한 준비를 통한 발사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발사일을 조정하기로 결정했다.

이와 함께 과기부는 국가 재난·안전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미래 이동통신 패러다임 전환을 대비하기 위한 공공복합 통신위성(천리안3호) 개발도 착수하기로 결정했다.

먼저 한국형발사체는 산·학·연 전문가 15인으로 구성된 전담평가단을 통해 연구개발 과정과 사업 관리에 대한 자문 및 평가를 받고 있다.

전담평가단은 최근 약 3개월간 향후 개발 일정에 대한 종합적인 점검을 수행했다.

점검 결과 한국형발사체의 발사 성공률을 제고하고 안정적인 개발을 추진하기 위해 1차 발사는 내년 10월, 2차 발사는 2022년 5월에 가능한 것으로 도출됐다.

과기부는 이를 반영, 한국형발사체 발사시기를 당초 내년 2월과 10월에서 평가단의 권고대로 변경하는 향후계획을 수립·확정했다.

일정 조정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것은 발사체의 1단부 개발이다.

1단부는 발사체에서 가장 큰 추력을 내기 위해 75톤급 엔진 4기가 클러스터링된 구조로 설계돼 체계복잡성이 높으며 이로 인해 인증모델 개발까지 분해와 재조립을 반복하는 과정을 거쳐야 했다.

이 밖에도 한국형발사체의 전기체(단간 조립이 완료된 발사체)를 구성하기 위한 단간 조립, 극저온 환경에서 기체 건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WDR(Wet Dress Rehearsal)을 실행하기 위해 추가적인 시간이 소요된다.

한국형발사체는 지난 2010년부터 국내 최초로 독자 개발해온 우주발사체로서 연구진들은 기술적 난제를 접할 때마다 문제를 해결하고 효율적인 개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핵심 기술들을 배우고 축적해 왔다.

내년 본 발사를 앞두고 연구진과 관련 산업체들은 더욱 심혈을 기울이면서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정부도 이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돼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728x90
반응형

댓글